스마트팜

Smart Farm
발전 방향

1. 설비 수동 제어
  • 시설 장비 운용을 스마트 기기를 통해 수동 제어
  • CCTV 등을 활용하여 상태 확인
  • 데이터 수집/활용 부족
2. 설비 자동 제어
  • 환경 데이터(온도/습도 등)를 수집하여, 조건에 의한 시설 장비 자동 운용
  • 데이터 수집에만 집중되며, 활용되는 데이터는 제어 부분에 국한 됨
3. 생산/이력 관리(ERP)
  • 재배의 전 과정에 대한 생육 정보를 수집/활용
  • 재배 이력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수집/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
4. AI 농장 관리
  • 수집된 설비, 환경, 경영 정보를 축적하고 Big Data 분석을 통해 최적의 재배 환경을 조성
  • 기후의 변화, 지역별 차이 등을 고려하여 재배 방법을 최적화
5. 로봇 경작
  • AI에 의해 분석된 최적의 조건을 활용하여 파종부터 수확/선별까지의 전 과정을 로봇으로 경작
  • 여러 가지 변수 등을 자동 인식하여 대처 할 수 있도록 지원

Smart Farm
구성도

Smart Farm
특징

Smart Farm 특징

경영관리 기능 확장